본문 바로가기
정보가득

주택자금조달계획서 제출대상 정리

by groberbaum 2025. 7. 22.
반응형

주택자금 조달계획서 사진

아파트 매매 시 주택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대상과 예외 기준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주택을 살 때 무조건 서류 제출해야 하나요?”
최근 부동산 거래 시 제출 서류가 많아지면서, 많은 분들이 **‘주택자금조달계획서’**의 제출 대상에 대해 궁금해하십니다.
실제로 대상자가 아님에도 서류를 준비하다가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경우도 많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주택자금조달계획서의 제출 대상과 예외 조건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주택자금조달계획서란?

 

주택자금조달계획서는 주택을 구입할 때 구입 자금을 어떻게 마련했는지를 밝히는 서류입니다.
정부는 자금 출처를 투명하게 파악하고,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이 서류 제출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 제출 대상은 누구일까?

2025년 현재,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구분제출 대상 조건
거래 금액 6억 원 이상 주택 매매 시
지역 조건 조정대상지역 내 3억 원 이상 주택 매매 시
법인 거래 법인이 주택을 매수하는 경우
자금 조달 방식 증여·상속 등 현금 외 자금 활용 시 (금액 무관)
 

💡 특히, 수도권 및 인기 지역은 대부분 ‘조정대상지역’에 해당하므로, 금액 기준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3. 제출 시기와 방법

  • 제출 시기:
    매매계약서 작성 후 30일 이내
  • 제출 방법:
    부동산 거래 신고 시 온라인 또는 구청 방문 제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신고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제출이 가능합니다.
단, 공동 명의 또는 특별한 자금 조달 방식이 있다면 직접 방문 제출을 권장합니다.

주택취득자금 조달 및 입주계획서 서류 사진


4. 예외 대상도 존재할까?

네, 다음과 같은 경우는 제출이 면제될 수 있습니다:

  • 6억 원 미만 주택 + 조정대상지역 외 지역
  • 분양권 거래 (일부 지역은 해당 안 됨)
  • 가족 간 증여 후 등기 전 거래 아님을 증명한 경우

다만 예외는 언제든 바뀔 수 있으니, 매매 전 반드시 지역 부동산이나 구청에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5. 제출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주택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하지 않거나 허위로 기재한 경우 최대 30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출처 조사 대상자로 분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6. 마무리

복잡하게 느껴지는 부동산 서류 중 하나지만, 주택자금조달계획서의 핵심은 단 하나!
“왜 이 집을 살 수 있었는지 증빙해라”는 것입니다.

위 내용을 참고해 자신의 상황에 따라 제출 여부를 미리 확인해보세요.
불필요한 서류 작성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